1. 순열 알고리즘
•
조합과 순열의 차이
◦
조합은 순서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음.
◦
순열은 순서라는 개념이 존재함
조합과 순열 예시
•
순열 알고리즘이란?
◦
순열 알고리즘: 개의 원소 중에서 개를 나열하는 모든 경우를 살펴보는 알고리즘
◦
순열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방법
1.
for문을 이용
: for 문을 이용하면 for문을 개 사용해야 하므로 확장성이 좋지 않다.
2.
재귀함수를 이용
: 재귀함수를 이용하면 을 인자로 받아 처리할 수 있어 확장성이 좋다.
◦
순열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
▪
순열 알고리즘은 개의 원소 중에서 개를 나열하는 모든 경우를 살펴본다.
▪
따라서, 시간 복잡도는 이라고 할 수 있다.
2. 순열 알고리즘 구현 (재귀함수)
•
재귀함수를 이용하여 순열 알고리즘 구현
N = 10
R = 3
lst = [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
check = [False] * N # 원소 사용 여부를 체크
# check[k] 가 true 이면 인덱스가 k인 원소가 사용중임을 나타냄.
# check[k] 가 false 이면 인덱스가 k인 원소가 사용중이지 않음을 나타냄.
choose = [] # 나열한 원소를 보관
def permutation(level):
if level == R:
# 나열한 R 개의 원소를 출력
print(choose)
return
# for문
for i in range(0, N):
if check[i] == True: # 인덱스가 i인 원소가 이미 사용중이라면 continue
continue
choose.append(lst[i]) # 인덱스가 i인 원소를 선택(추가)
check[i] = True # 인덱스가 i인 원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true로 초기화
permutation(level+1) # 다음 for 문으로 들어가는 역할
check[i] = False # 인덱스가 i인 원소의 사용이 끝났으므로 false로 초기화
choose.pop() # (넣었던) 인덱스가 i인 원소를 제거
permutation(0)
Python
복사
◦
check 배열: 원소의 사용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배열
◦
level: 현재 선택한 원소의 개수 (깊이를 의미)
◦
현재 선택한 원소(level)가 R이면, 그때 R만큼 나열한 것이니 처리해 주면 된다.